MAXQDA를 활용한 근거 이론 분석: 단계별 가이드
MAXQDA는 데이터를 수집, 구성, 분석, 시각화 및 게시할 수 있도록 근거 이론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론적 체계를 지원합니다. 이 기사에서는 MAXQDA 지원 근거 이론 분석을 쉽고 빠르게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될 도구들을 안내합니다.

근거 이론이란?
근거 이론의 중심 원리는 연구자의 주제에 대한 이론이 그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성된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질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연구자는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이론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G그러므로 근거 이론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질문에 기초한 데이터 수집으로부터 시작됩니다.
근거 이론의 원칙은 1967년 사회학자 바니 글레이저(Barney Glaser)와 안셀름 스트라우스(Anselm Strauss)가 그들의 저서 근거 이론의 발견에서 서술하였습니다. 이론을 만들기 위해 데이터로 시작한다는 아이디어는 이전의 방법론적 전통, 즉 연구자들이 데이터 수집 중에 이미 공식화된 이론을 검증해야 한다고 제안했던 것과 모순되었습니다.
근거 이론은 사회 연구에서 체계적으로 얻은 데이터로부터 이론을 발견하는 것입니다.글레이저 및 스트라우스(Glaser & Strauss), 2009
근거 이론은 오늘날 연구자들이 사용하는 가장 많이 사용 되는 질적 방법론 체계 중 하나입니다. 이것은 근거 이론 방법과 그 적용이 아마도 “신선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보고 조기 분석 작성을 통해 데이터에 대한 아이디어를 탐구하기” (차마즈(Charmaz), 2006) 때문일 것입니다. 특히 코딩과 관련하여 근거 이론 과정이 많이 반복됩니다. 따라서 이 기사는 근거 이론 자체의 방법론적 평가보다는 MAXQDA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는 실질적인 가이드의 역할을 할 것입니다.
MAXQDA를 활용한 근거 이론 분석
근거 이론을 기반으로 한 분석에서,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데이터를 철저히 검토하여 반복되는 주제를 찾고, 키워드와 문장으로 출현 테마를 코딩한 뒤, 코드를 계층적 개념으로 그룹화하고, 관계 식별을 통해 개념을 분류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과정을 통해 생성된 범주와 이들 사이의 연결들은 새로운 이론 개발의 기초로 사용됩니다.
근거 이론 방법론을 기반으로 질적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MAXQDA 사용에 있어 중요한 단계를 우리는‘4 Cs’라고 부릅니다.
- 데이터코딩(coding) 하기,
- 코드 시스템의사용자 정의(customizing),
- 코딩 생성으로카테고리 만들기(category building),
- MAXMaps를 사용한 이론 구성(constructing theories).
이 단계들은 분석 과정에 있어, 기존의 이론이 연구자들이 연구 중인 사회적 현상에 얼마나 잘 적용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단순히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새로운 이론을 구성할 때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합니다. 그러나 근거 이론이 연구자에게 주는 자유로움은 그 연구가 실용화될 때 가장 큰 도전 중 하나가 될 수도 있습니다.
엄격한 구조나 규정된 규칙이 없는 경우, 연구자들은 전적으로 자체적으로 작업해야 하므로 분석 과정을 시작하는 방법에 대한 불확실성이 종종 발생합니다. 근거 이론 연구는, 특히 데이터 분석의 지속적인 비교법으로 수행할 경우, “연구자가 분석 밑 데이터 수집 과정에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노독 집약적 과제”입니다. 콜브(Kolb), 2012
위에서 보여준 것과 같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그 과정이 훨씬 명확해집니다. MAXQDA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코딩하고 분석적 아이디어가 있을 때 데이터 세그먼트를 검색하여 이론을 실시간으로 개발할 수 있습니다! 아직 MAXQDA 라이센 스가 없는 경우 14일 무료 체험판을 다운로드하여 시작하십시오:
1단계: 데이터 코딩하기
코딩은 데이터 수집과 데이터의 유효한 이론 개발 사이의 첫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코드’는 후에 다시 쉽게 찾을 수 있도록데이터 세그먼트의 내용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키워드 또는 라벨입니다.
코드는 순서를 만듭니다. 예를 들어 도서관의 키워드 도서목록을 생각해보십시오. 목록은 올바른 책을 찾는 데 도움이 되는 동시에 도서관의 책이 있는 주제에 대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물론 이러한 목록이 얼마나 유용한지는 색인 시스템의 유용성과 할당된 키워드의 정확성에 달려 있습니다. 연구자들의 코딩 작업도 마찬가지입니다. MAXQDA에서 텍스트, 이미지 또는 오디오/비디오 영상에 코드를 할당하는 것을 ‘코딩’이라고 합니다.

근거이론에서의 코딩은 두 가지 주요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먼저, 초기의 ‘오픈 코딩’ 단계가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데이터와 긴밀히 작업하여 새 코드를 생성하고 데이터의 특정 라인 또는 세그먼트이름을 지정합니다. 이때 코드의 수를 제한하지 않도록 열린 마음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핵심 코드는 후속 분석 단계에서 개선됩니다.
- 다음은 코딩 프로세스의 고급 단계 (일명 두 번째, 세 번째 등의 코딩단계)에서의‘선택적 코딩’ 입니다. 이 후반의 코딩 단계에서 연구자들은 가장 중요한 상위 레벨 코드를 정의하고 초기의 코딩 단계에서 생성된 하위 레벨 코드를 정렬하기 위해 코딩에 집중하게 됩니다. (2단계 및 3단계 참조)
MAXQDA는 끌어다 놓기와 같은 고전적인 코딩 기술 외에도 다양한 코딩 옵션을 제공합니다. 컬러 코딩 또는 ‘하이라이트 코딩’은 책에서 구절을 형광펜으로 강조 표시하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코드의 색상 선택을 위한 MAXQDA의 색상환 옵션은 중요한 데이터 세그먼트를 이해하기 쉽고 최종 보고서에서 시선을 사로잡을 수 있는 무한한 옵션을 제공합니다.
코드는 데이터에 기반해야 하기 때문에, 근거 이론 분석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코딩 기술 중 하나는 ‘인-비보 코딩(in-vivo coding)’입니다: 이는 인터뷰 기록 또는 텍스트와 같이, 데이터에서 찾은 단어나 구절 자체를 코드로 사용합니다.

가장 적합한 옵션을 선택하십시오.
MAXQDA의 인-비보 코딩 기능은 특히 이러한 근거 이론 기반의 분석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코드로 사용하려는 단어를 선택한 다음 “문서 브라우저” 창의 도구모음에서 ‘코드 in-vivo’ 기호를 클릭하십시오. 선택한 단어는 “코드 시스템” 창에 짧은 텍스트 세그먼트를 위한 코드로 추가됩니다. 문서 세그먼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컨텍스트 메뉴에서 MAXQDA의 다양한 코딩 옵션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2단계: 코드 시스템의 사용자 정의
후반의 코딩 과정에서 연구자들은 위에서 언급된 선택적 코딩 기술을 사용하여 이미 코딩한 데이터를 검토합니다. MAXQDA의 “코드 시스템” 창의 코드를 ‘상위 코드’와 ‘하위 코드’로 정렬하여 코드계층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비슷한 내용의 코드를 쉽게 식별하고 개념으로 그룹화 할 수 있는 ‘코드 나무’를 만들고 구체화 할 수 있습니다.
MAXQDA는 코드가 계층 구조로 자동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이 단계를 도와줍니다. 즉, 여러 하위 코드를 생성한 다음 하위 코드의 하위 코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코드 시스템은 또한 화면에 자동으로 나무 구조로 표시되며 코드 시스템에 많은 하위 코드가 있는 복잡한 구조를 가진 경우 별도의 창에서 열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계층적 구조는 최대 10개의 레벨과 무제한의 총 코드 수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코드 시스템” 창 가장 오른쪽 열에 있는 숫자들은 코딩된 세그먼트의 수를 나타내므로 코드의 빈도수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표시된 것처럼 코드 옆의 화살표 아이콘을 클릭하여 하위 범주를 확장하거나 닫을 수 있습니다.

MAXQDA로 코드 나무를 원하는 대로 간단히 지정하십시오.
3단계: 창의적 코딩(Creative Coding)으로 카테고리 작성하기
근거 이론 분석에서, 선택적 코딩 단계의 후반부 (또는 일부 전문가들의 설명과 같이, 코딩의 제3단계)에서 유사한 개념들을 묶어 그룹화 함으로써 카테고리가 생성됩니다. 연구자들이 이론적으로 카테고리 사이의 링크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카테고리는 궁극적으로 새로운 이론 구조의 기초가 될 것입니다(슈라이버(Schreiber), 2001). 새로운 코드가 생성, 분류 및 계층적 코드 구조로 구성되면 코드 간의 관계가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MAXQDA의 창의적 코딩은 연구자들에게 의미 있는 그룹을 만들기 위해 코드를 자유롭게 이동하고 정렬할 수 있는 넓은 작업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러한 분류 과정을 위한 최적의 도구입니다. 시작하려면 화면 상단의 코드 메뉴 텝에서 창의적 코딩을 클릭하여 모드를 활성화 하십시오. 화면에 다음 작업 공간이 표시됩니다.

창의적 코딩을 위한 코드 선택
“코드 시스템” 창에서 작업하려는 코드를 끌어다 MAXMaps 작업 공간에 놓으십시오. 이제 마우스를 사용하여 코드를 자유롭게 그룹화하고 구성하며 필요한 경우 새로운 상위 및 하위 코드를 생성하고, 또 원하는대로 코드 색상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MAXQDA는 작업 공간 위에 나타나는 이러한 모든 기능을을 위해 사용이 쉬운 도구모음을 제공합니다.
코드 구성을 마치면 창의적 코딩을 종료하여 코드 나무에 변경 사항을 적용하십시오. ‘창의적 코딩 종료’ 기호를 클릭하고 다음 팝업 창에서 ‘예’를 선택하십시오.
4단계: MAXMaps를 이용한 이론 구성
선택적 코딩 단계 후, 카테고리 사이의 이론적 링크는 더 명확해집니다. 근거 이론의 다음 단계는 이론적 샘플링 단계이며 , 여기에서 새로운 이론을 개발하고 이를 구성하는 주요 범주를 정교화하기 위해 추가로 선택된 데이터가 수집됩니다.
이 단계에서 MAXQDA의 MAXMaps 기능을 사용하여 이론의 시각적 다이어그램을 작성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MAXMaps는 서로 다른 요소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개념 맵을 작성하여 이론에서 데이터와 관계의 복잡한 연결을 시각화 할 수 있습니다.
내용을 쉽게 끌어다 놓을 수 있는 비어있는 맵으로 시작하거나 MAXMaps의 여러 모델 템플릿 중 하나를 선택하여 데이터에서 찾은 연결을 자동으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카테고리 내에서의 연결을 검사하려는 경우 코드 이론 모델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코드, 해당 하위 코드 및 메모 간의 연결을 표시 할 수 있습니다.

두 단계의 하위 코드를 통합한 코드 이론 모델
또한 맵에서 사용되는 모든 요소는 상호적입니다. 즉, 모든 요소들은 MAXQDA 프로젝트에 연결되어 있. 기 때문에 프로젝트 내의 요소에 대한 더 나은 관점을 얻을 수 있도록, 또 데이터 내의 자료를 더 쉽게 찾기 위한 표 및 워크시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아이콘을 더블 클릭하여 문서, 코딩된 세그먼트 또는 메모를 열고 시각화 중인 이론에 이르게 하는 분석 작업을 읽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MAXMaps 는 근거 이론 분석의 이론 샘플링 단계 동안 귀하의 이론에서 추가 데이터가 필요한 곳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완벽한 도구 입니다.
물론 MAXQDA가 귀하의 연구를 지원할 방법에 대한 몇 가지 단계에 대한 개요와 몇 가지 제안을 했지만, 근거 이론 분석이 선형 과정은 아닙니다. 이론적 샘플링의 후반 단계에서 연구자들은 새로운 데이터를 코딩해야 하며, 그 시점에서 이미 발전시킨 카테고리 중 일부를 수정하고 싶을 수 있습니다. 즉, 그 주기가 다시 시작됨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걱정하지 마십시오! 주기적 과정은 처음에는 어려워 보일 수 있지만 MAXQDA를 사용하여 각 테스트를 수행하고 카테고리를 개선할 때, 이론이 더욱 명확하고 탄력있게 됩니다. 기억하십시오, 만약 지금까지 잘 해냈다면, 지금부터 주제를 바라보는 방식을 바꿀 수 있는 새로운 이론을 세울 수 있는 결론에 가까워졌습니다.
팁: 메모의 중요성
메모는 근거 이론 분석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입니다. 코딩 시 진행 상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중요하며, 이러한 생각을 적어두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메모는 연구자들이 비공식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아이디어 자취를 따를 수 있는 공간이며,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진행 중인 단계 뒤의 추론을 공식적으로 추적합니다. 더 나아가 가장 중요한 것은, 메모 작성 과정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와 통찰력이 유기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본인에게 맞는 가장 편한 방식으로 메모를 구성할 수 있지만, 제목을 추가하고 참조하려는 데이터 세그먼트를 설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메모를 구성하는 데에는 몇 분이 더 걸리겠지만, 후에 코딩 및 보고 단계에서 더 많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도 MAXQDA는 여러 단계를 자동화 하였으므로 더 이상 노트나 포스트잇에 수기로 메모를 작성하거나 배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MAXQDA에서 메모 생성하는 방법
메모 작성이 근거 이론 연구의 필수적인 부분인 것처럼, 메모는 MAXQDA 프로젝트의 필수 부분입니다. MAXQDA의 직관적인 디자인은 방법론적 접근 방식의 유연성을 제공하며 연구 및 분석 과정 중에 원하는 만큼 창의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MAXQDA 내에서 다양한 유형의 메모를 구별할 수 있으며, 그것들은 분석에서 각기 다른 역할을 합니다. MAXQDA에서는 메모를 문서,문서 그룹, 오디오와 비디오 파일 등에 첨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메모를 코드 자체에 할당할 수 있습니다. 코드 메모는 종종 카테고리의 정의와 예시를 포함합니다. 이는 근거 이론 분석을 통해 생성한 카테고리의 의미를 보다 명확하게 하고 원본 인용문과의 연결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자유’ 메모를 작성하는 옵션도 있으며, 이 메모는 프로젝트 이외의 것들에는 첨부되지 않습니다.
메모를 작성하려면 먼저 메모 아이콘들 더블 클릭하여 대화창을 여십시오. 메모 이름을 지정한 뒤 텍스트를 입력하십시오. ‘작성자’ 및 ‘작성일’ 입력란은 시간 절약을 위해 자동으로 채워집니다.

MAXQDA의 메모 대화창
메모 유형
다음으로, MAXQDA에서 제공하는 10가지 기호 중 하나를 사용하여 메모에 ‘유형’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기초 이론 분석을 수행할 때 메모를 유형별로 정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론적 메모는 기초 근거 이론 분석에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메모 유형으로, 분석 활동에 대한 연구자의 아이디어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연구자는 코딩 과정에서 코드의 이론적 의미와 코드 간의 논리적 관계를 추출하기 위해 메모를 작성하여 데이터에서 ‘이론화’합니다(글레이저(Glaser), 1998).
MAXQDA 프로젝트에서, 이론적 메모를 나타내기 위해 “T” 메모 아이콘을 사용하거나 방법론 메모를 위해 “M” 메모 아이콘을 사용하고, 또 생성된 in-vivo 아이디어에 파란색 아이콘을 할당하거나 이전 연구 아이디어를 위해 빨간색을 사용하는 등, 작업에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메모 구성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메모 작성을 마치고 창을 닫으면 MAXQDA는 자동으로 저장됩니다. 또한 새 메모에 추가 한 정보는 열린 메모 창에 5분 간격으로 저장되므로 실수로 대화 창을 닫더라도 아이디어를 잃어버릴 염려가 없습니다!
메모 미리보기
MAXQDA에는 다양한 옵션과 유형의 메모가 있으므로 모든 메모 작업과 정보에 대한 개요를 확인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MAXQDA의 메모 개요는 이를 위해 특별히 작성되었으며, 작성을 시작할 때 많은 시간을 절약 할 수 있습니다. 메모 개요를 보는 가장 빠른 방법은 MAXQDA 화면 상단의 보고서 탭에 있습니다.

MAXQDA의 메모 대화창 개요
메모의 위치, 제목, 작성자, 출처 및 메모 내용 미리 보기를 포함하여 메모에 대한 모든 중요한 정보가 포함된 새 대화 창이 표와 함께 열립니다. 여기에서 작업을 탐색하고 열별로 메모를 필터링하여 특정 정보를 찾은 다음, 찾고 있는 메모로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전체 근거 이론 분석 과정에서 생각을 수집하고 보는 것이 이토록 쉬운 적은 없었습니다!
인용 문헌
- Charmaz, K.,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 SAGE, 2006.
- Glaser, B., Doing Grounded Theory: Issues and Discussions. — Sociology Press, 1998.
- Glaser, B., Strauss, A.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 Transaction Publishers, 2009.
- Kolb, Sharon M., Grounded theory and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Valid research strategies for educators. – Journal of Emerging Trends in Educational Research and Policy Studies 3.1, 2012 (83).
- Montgomery, P., Bailey, P. H., Field notes and theoretical memos in grounded theory. –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07, 29(1), 65-79.
- Schreiber, R. S., Stern, P. N., Using grounded theory in nursing.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1.
YouTube Tutorials:
Special thanks to Dr. Timothy C. Guetterman for his editorial contribution to this article!